존 스튜어트 자유론
p8 들어가는 말...
'시간과 공간을 넘어 읽는 이의 영혼을 울릴것'

현대 한국사회는
'자기확신과 민주주의에 대한 불신'이라는
모순적 이중 구조로 고통받고 있다

전통사회에서는 자기주장ㅈ을 펴기가 어려웠다

지금은 다르다

누구든지 자기 생각을 자유롭게 펼칠 수 있다
... 내 생각이 틀릴 수 있음을 인정해야 한다

P9
... 주류와 통설에서 조금이라도 어긋난 것은 숨도 쉬지 못한다.
P10
이런 상황에서는 각 개인이 자기만의 고유한 성격과 가치를 발전시키기 어렵다.
독창성을 발휘하기는 더구나 어렵다.

개별성이 없는 삶은
... 무의미한 일상의 반복일 수 밖에 없다.

* 다수 대중은 '별을 보는자'를 용납하지 못한다.

1. 사람들은 무분별하게 남을 딸가려는 습성을 가지고 있다.
2. 자기 확신의 과잉이 그런 비극의 또 다른 뿌리가 된다. 인간은 운명적으로 유한한 존재이다.
* 자신의 생각이 절대 옳다 고 말해서는 안되는 것이 바로 인간이다.
- 내 생각이 잘못될 수 있음을 인정한다면 남의 생각에 대해 열린 마음을 가져야 한다.

자기 확신의 오류에 빠져 다르게 생각할 수 있는 타인의 권리를 짓밟는다.
평등의 이름 아래 권력을 장악한 다수 대중이 특히 그렇다.
그들이 만들어낸 관습과 여론과 통설은 일체의 도전을 용인하지 않는다.

P11
비판과 회의를 두려워하면 어떤 진리라도
'헛된 독단적 구호로 전락'하고 만다는 것
이것이 <자유론>의 출발점이자 결론이다.


출처 - 위키피디아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Michelangelo_Buonarroti_-_Il_Giudizio_Universale.jpg)

관절염, 근육경련이 있는 60세 노인이더라도 시대를 초월하는 예술작품을 남길 수 있다.

인생의 의미를 남기는데에 늦은 나이는 없다!

뮤직비됴
여자친구 - 귀기울이면
플레디스걸스 - we
트와이스 - feel special
...
우상혁 높이뛰기

스톡데일 패러독스
표상 : 가혹한 현실 ... 비루하고 미천한 나의 처지속에서도
의지 : 새로운 도전과 발전가능성에 불타오른다

유로와 코파를 보면서,
벨기에, 브라질, 잉글랜드...
최강스쿼드라고 생각했던 팀들이
아르헨과 이탈리아에 발렸다.

심지어, 프랑스는 스위스에 발리면서 16강에서 나가리 되었다.

팀웍이 가성비를 만들어낸 것 같다.

스쿼드는 모았다고 장 땡이 아니다.
잘 돌아가도록 전술로 메꿔야 하는 것 같다.

최강 스쿼드 없다면 팀웍이 max가 되는 전술로 커버쳐보자.
최강 스쿼드를 만났다고 자포자기는 하지말자.
그리고, 황당의 반대편에는 기적으로 해석되는 것이 있다.

스위스는 16강전이 레알 재미있었을 것이다.
토트넘이 아약스 발랐을 때 ㄹㅇ 재미있었다.



p211 ... 이 고통의 시기를 창조적으로 견뎌내야 우리에게도 새로운 리더십의 기회가 온다.

왜 이런일이 일어났는가에대한 분석
문제점을 해결해서 회복하겠다
답을 찾는 것이 아니라

무엇에 회복하는지 포커스를 맞춘다.

□ 회복요소

김정운 교수님 책을 보면서 메타인지가 강화된다.
- 새로운 지식에서 오는 깨달음이 인지전환을 만든다.

좋은 영화를 보면 회복되었다.
- 킬러의 보디가드2

지하철에서 영어 학습 또는 독서로 자기효능감이 높아진다.

기적 같은 역전 경기를 보면 새로운 도전정신이 생긴다.

녹슨 칼가는 영상을 보면 마음속 녹슨 때도 갈아낸다.

절세미인의 미소만으로도 세상 근심이 사라지고 기분이 좋아진다

'2022 Metacognition > G. 존버의 재미 (전년도 포함)' 카테고리의 다른 글

0712 개인기와 팀워크  (0) 2021.07.12
0709 [도서] 가격 외롭  (0) 2021.07.09
0625 킬러의 보디가드2  (0) 2021.06.25
0615 멘붕 대응 protocol  (0) 2021.06.15
20210608 킹스맨 명대사  (0) 2021.06.08

좌절감, 상실감
족구하라고 그래..

병원에서 해결 못하는 걸
영화로 해결 할 수도 있다.

눈 앞에서 좋은 기회를 놓쳤다.
족구하라고 그래..
다음 버스 타면 된다!

# 영화 스포트라이트
어둠속에서 넘어지면서 산다.

멘탈 붕괴되었을 때,

step a. 실패에 대한 좌절감 & 불행에 매몰되는 것을 막는다. # 실패는 자연스러운 것이다.

1. 정신상태 정의 - mental segmaentation으로 문제점을 메타인지한다.
1.1 왜 불안/부당하다고 느끼는가?
1.2 분노/걱정 할 만한 가치가 있는가?

2. 사회 통념적으로 이해되는 실패 개념으로 불행, 불안이 개인화 되는 것을 방지한다.
2.1 성공하는 과정에서도 실패, 실수가 늘 포함 되어 있다.
2.2 변혁의 시대에는 기존 방식이 실패 할 수 있다.
2.3 새로운 패러다임을 적용하는데에 기존 프레임이 쉽게 변화하지 않을 수 있다.

step b.문제를 인식했으면 대응 방법을 찾아보자

3. 대응 전략
3.1 장기적 관점으로 목표 설정 - 10년동안 달성하고자 하는바
# 대응 기간에 여유가 있어야 실패가 교훈으로 활용가치가 생긴다.

3.2 목표 달성을 위한 4 단계
1단계 기초확보
2단계 강점확보 - 핵심 경쟁력 요소
3단계 일류화 - 최고 수준으로 갈고 닦는다
4단계 응용 적용

3.3 1단계에는 small win이 가능한 요소위주
3.3.1 할 수 있다는 인식이 있으면 뇌는 달성 방법을 자동세팅 한다.
3.3.2 반대로 안 된다는 인식이 있으면 방어적 퇴행으로 연결된다.
3.3.3 실패에서 교훈을 얻어 되는 방법을 찾아본다

3.4 서서히 난이도를 증가 시킨다.
- 어제보다 한 개만 더 해 보자
3.5 남들보다 확실히 잘하는 영역이 나타난다.
3.6 해당 분야에서 최고 수준을 지향한다.
- 단, 칭찬을 듣기 위한 것이 아니라 진정 좋아하는 것을 선택해야 극강의 난이도를 극복하고 경지에 이르게 된다.

4. daily action
4.1 행위를 단순히 기록한다.
4.2 잘 되는 지점을 찾는다.
# 잘되는 요소는 생활속에 고착시킨다.
# 출근길 영어문장 암기하기

4.3 망했던 지점은 개선 해 본다.
# 게임시간을 줄이는 방법 - 게임전 푸쉬업 10개를 한다.

5. 지속적인 자기성찰
5.1 나이/환경/상황에 맞게 protocol은 수정 보완한다.

인간은 실수한다.
초경쟁 사회에서는 실패가 존재한다.
반복되는 실수, 실패에
자신만의 대응 전략이 있어야 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