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분기 코로나 영향... 경기가 더블 딥 국면 가능성 높아짐

경기방향성 결정 핵심 리스크 요인
. 코로나 19 확산 범위 / 기간
. 중국 경제 성장 둔화 불가피
.. 중국 경재위기 배제 어렵다고 판단
> 중국시장 위축, 중국산 중간재 수입차질 등 한국경제 심각한 위기 가능성 있음
. 국내 경기 침체 방어

미국에너지 정보청(EIA) 2020년 브랜트유 64.8달러 전망
. 세계경기 회복에따른 원유 수요증가
. opec 감산 but 비오펙 증산 - 원유 수급 균형
. 중동지역 지정학적 위험이 확산 안 될 것을 전제

2019 64.4
2020 64.8
2021 67.5

2020년 상방 하방 위험 점검
. 미국 군사적 맞대응 보다는 경제외교대응
. 이란 민항기 격추로 ... 호르므즈 해협 봉쇄는 어렵가는 의견이 지배적

신흥국 중심의 글로벌 경기회복은
미 달러화 약세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어
유가상승 가능성 커짐
. 산유국들이 원유 판매대금을 달러화로 수취
미 달러화 약세는 유가 상승요인으로 작용

공급확대에 따른 유가 급락 가능성 크제 않을 것 전망

한 중간 주요 기술격차는 1년이하 축소
대다수 신산업 분야에서는 중국은 한국을 추월
. 인공지능, 빅데이터, 핀테크 등

중국제조 2025에 의해 가장 큰 충격이 예상되는 국가
. south korea가 압도적 1위

IMF 2019 미중 최종합의 시나리오 3개 모두
한국의 대중 수출 감소 예상

2020 연간 경제성장률 0.1~0.2% 하락압력

. 외국인 관광객 감소로 관광수익 0.9~2.9조원 감소 예상
. 국내소비 0.1~ 0.3/0.4 감소
. 국내수출 1.5~2.5억달러 감소

P20
- 국재원유 시장 불확실성 증가
... 2020 공급과잉 흐름으로 2019년 대비 소폭 하락 전망
... 1월 미-이란 갈등 고조로 유가 급증

EAI WTI 평균 55

1/4 53.8
2/4 52.2
3/4 55.5
4/4 58.5

블룸버그 WTI 평균 56
1/4 55.8
2/4 56.5
3/4 55.4
4/4 57.0

2019 12 13 무역협상 1단계 합의

. 12/15 부과 예정 추가관세 유예
기존 부과된 추가 관세 부분감축

. 기존관세 인하효과는 실질적으로 크지 않음
. 미중 양국합의로 불확실성 일부제거 / 추가개방 기대

[samzlab]
1. 이란 사태가 크게 확전이 되더라도, 장기전이 아닐 것으로 판단... 2020 하반기 안정세 예상
2. 트럼프가 중간선거에서도 america first 를 강조 할 것으로 예상
... 이란 때리듯 중국에 대한 고압적 지위 유지 예상

. wti 64이상일 때 지속 매수
. 연말 10%이상 수익 예상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