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부양책을 제외한 경기 지표 흐름을 고려하면 IMF 외환위기 이후 처음으로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할 가능성이 큼.
최근 정부의 확장적 재정정책으로 소비가 회복되고 있으나 ... 재정정책 효과 종료,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소득 감소 및 예비적 저축 확대 가능성 등으로 하반기 소비 절벽이 현실화될 수 있음.
코로나19 충격으로 세계 경기 부진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하반기 대외건전성 상황을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음.
'2020 MastarPlanDotCom > B. 일단 저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0717 포스트코로나 경제사회 변화전망 - 한국경제연구원 (0) | 2020.07.17 |
---|---|
0708 대경연 - 대중국 수출 급감 (0) | 2020.07.09 |
0629 초저출산 시대 코로나19가 가져올 인구구조 변화 - 기재부 (0) | 2020.06.29 |
0605 현경연 코로나 미국 경제 (0) | 2020.06.05 |
0515 도서 피터드러커 미래를 읽는 힘 발췌 (0) | 2020.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