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엑셀이든 txt파일 읽는 건 링크내용 참고
0902 python txt파일 읽어서 list 만들기 - https://roaltkfdl.tistory.com/m/637

0902 python txt파일 읽어서 list 만들기

# 1 # 파일 읽기 reaDfile = open('filename.txt', 'r') linElist = reaDfile.readlines() # 2 # line단위 분리 i = 0 hanG = [] for line in linElist: ****line = line.rstrip() ****hanG.append(line) ****i +=..

roaltkfdl.tistory.com


# sourceAvg에 저장 되었다고 하고...

# 10 리스트 append는 str이므로 int로 바꾸자
sourceAvg = [ int (ii) for ii in sourceAvg ]

# 20 리스트 데이터간 차이를 구한다
# 21 카운터 만들기
cnTAvg = len(sourceAvg) - 1 # [0]을 포함하니까 1을 뺀다

i = 0
gaPcheck = []
# 22 끝에서부터 하나씩 빼는 걸 while로 돌리자
while cnTAvg != 0 :
....if cnTAvg == 0 :
.... ....break
....gaPcheck.append(sourceAvg[cnTAvg] - sourceAvg[cnTAvg - 1] )
....i += 1
....cnTAvg += 1
# 뒤에서부터 저장이 되었으니 뒤집자
gaPcheck.reverse()

# 30 리스트 내 합 / 개수 = 평균
totaLsum = sum(gaPcheck)
average = totaLsum / len(gaPcheck)

# i # command에서 openpyxl 설치

pip install openpyxl

 

# 0 # 모듈 임포트

from openpyxl import Workbook

 

# 10 #  워크북을 만든다

wkB = Workbook()

 

# 20 # 워크북에 워크시트 활성화

wkSt = wkB.active

 

# 30 # 시트명 ['엑셀행열'] = 데이터 입력하기 - A1에 숫자 입력

wkSt['A1'] = 123

 

# 40 # append는 다음 행으로 데이터 추가 

wkSt.append([4,5,6])  # B1 = 4, B2 = 5, B3 = 6 으로 입력

 

# 50 # 입력 내용은 워크북 단위로 파일 생성(save)

wkB.save("makeexcelfile.xlsx")

import pandas as pd
import numpy as np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from matplotlib import style

coLname = ['columb name']

lisT = [1, 2, 3, 4, 5]

# 리스트는 plot을 사용 할 수 없으니

# 리스트를 데이터 프레임으로 변환한다

df_list = pd.DataFrame(lisT, colums = coLname)

df_list.plot(color = "#ff0000")

plt.plot(df_list, marker = '*', color = 'r')
plt.show()

resulTa = []
resulTb = []

 

#라인별 입력된 테이블 1차정리
input_can = []
can_cnt = i-1 # 0이 들어가니까 하나 빼준다

while can_cnt > 0 :
# 0보다 큰 값까지만 필요 # 첫 행 날림
****input_cnt.append(hanG[can_cnt])
****can_cnt -= 1

 

while i != can_cnt + 3 : # 동작범위 세팅
****seTa = input_can[can_cnt] + ' ' + input_can[can_cnt]
# 공백 날리기
****seTa = seTa.split()
# 회차 정보가 있는 [0], [8] 날리기
****del seTa[8]
****del seTa[0]
#### 여기까지가 seTa
#### seTb는 seTa에 포함 되는 않는 영역 추출
****seTb = list(range(1,46))
# int를 str으로 변환
****seTb = [ str (ii) for ii in seTb ]

# set로 만들면 difference 펑션을 쓸 수 있다.
****seTlist1 = set(seTa)
****seTlist2 = set(seTb)
****seTlist2 = seTlist2.difference(seTlist1)

****seTb = list(seTlist2)
#### 여기까지가 seTb

 

# 타겟 세팅을 하자
****seTt = input_can[can_cnt + 2]
****seTt = seTt.split()
****del seTt[7]
****del seTt[0]
#### 여기까지가 seTt

# 비교를 해보자
****chKa = 0
****chKb = 0

****for ii in seTt :
**** ****if ii in seTa :
**** **** **** chKa += 1

****for iii in seTt :
**** ****if iii in seTb :
**** **** **** chKb += 1

****resulTa.append(chKa)
****resulTb.append(chKb)

 

****can_cnt += 1 # while end가 동작하도록


+ Recent posts